전기차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상하게도 전기차만 타면 멀미를 느끼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전기차는 엔진의 떨림도 적고 소음도 거의 없어서 조용하게 주행하는 느낌이 드는 전기차에서 멀미를 느끼는 것이 신기하기도 합니다. 전기차 주행 중에 멀미를 느끼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일반적인 멀미가 나는 이유
일반적으로 멀미가 나는 이유를 알아야 전기차에서 멀미를 느끼는 이유를 더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주행 중인 자동차에 탑승을 했을 때 멀미가 생기는 원인으로 사람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각기관에서 느끼는 정보를 뇌에서 처리하는데 감각기관에서 보낸 정보가 충돌될 때 멀미를 느끼게 됩니다. 주행 중인 차량에 탑승해 있다면 몸은 정지해 있지만 눈과 귀는 움직이고 있음을 인식해서 감각기관에서 보낸 정보가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에 멀미가 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에서 멀미가 나는 원인
전기차에서 멀미가 나는 가장 큰 원인은 급출발과 급정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는 고성능의 스포츠카가 아니지만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짧습니다. 전기차는 모터로 구동되어 초기의 가속력이 상당히 높아 액셀을 가볍게 밟더라도 속도가 급격하게 올라가기 때문에 급출발을 많이 하게 됩니다.
전기차는 회생제동 시스템을 하용하고 있으며 주행 중에 브레이크를 밟으면 움직이는 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회수를 하게 됩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연장에 매우 중요한 기능이지만 회생제동 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할 때가 급제동할 때입니다. 따라서 전기차는 자연스럽게 급출발과 급정거를 반복하면서 주행을 하게 된다면 감각기관에서 혼선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차에서 멀미가 나는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에서 멀미 해결 방법
전기차에서 멀미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행 중에 급출발과 급정거를 하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에 가능한 가속과 감속을 할 때 페달을 잘 조작하여 부드럽게 할 수 있는 습관을 가지는 게 좋습니다. 또한 회생제동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기차의 멀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차에는 핸들 위쪽에 보이는 패들 시프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패들 시프트를 이용하면 회생제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패들 시프트를 -로 표시된 쪽의 레버를 운전석 쪽으로 당겨주면 회생제동 강도가 약해지고 +로 표시된 쪽을 당겨주면 회생제동의 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평소에 전기차에서 멀미를 느끼신다면 구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급출발과 급정거를 줄이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기차 주행 중에 멀미를 느끼는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2023.10.02 - [분류 전체보기] - 자동차 에코모드 기능과 실제 연비 영향과 연비를 아끼는 주행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