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환경을 위해서 전기차를 구매하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전기차 급발진 뉴스를 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서 전기차를 주행하는 분들의 걱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대처 방법을 알아두면 급발진할 경우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차 급발진의 주요 원인과 상황에 따른 대처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전기차 급발진의 주요 원인
전기차의 급발진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 전기차의 급발진 원인으로 가장 유력하게 추정하고 있는 것은 차량 내 ECU 오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ECU는 엔진, 변속기, 브레이크 등 전기차의 여러 가지 부품들의 가동을 계산하며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전기차의 회로에 문제가 생기거나 모터에 이상 전력이 공급되어 차량이 갑자기 속도가 올라가며 급가속하게 되지만 브레이크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제동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동차 제조사들은 운전자의 운전미숙으로 인한 액셀과 브레이크의 혼동으로 일어나서 발생하는 사고라고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급발진 대처 방법
1. 페달에서 발 떼기
전기차의 급발진 상황에서 가장 빠른 대처 방법은 모든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입니다. 갑자기 차량이 급발진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혹시 모를 운전자의 운전 미숙일 수 있기 때문에 일단은 빠르게 모든 페달에서 발을 떼서 액셀과 브레이크와의 혼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브레이크 강하게 밟기
전기차의 급발진 상황에서 페달에서 발을 뗀 후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정확하게 브레이크를 한 번에 강하게 힘을 주어 밟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번에 강하게 밟는 것으로 한 번에 밟지 않고 연속적으로 나누어서 밟게 된다면 진공상태가 되어 브레이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3.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사용
자동차에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있는 경우라면 해당 버튼을 손으로 계속적으로 당겨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에 출시하는 차량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할 경우 유압으로 자동차의 4바퀴를 고정하기 때문에 버튼을 계속적으로 당기고 있으면 풋 브레이크의 70%에 해당하는 제동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없는 차량이라면 풋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하며 갑자기 강하기 조작하면 차량이 회전하거나 전복될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조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기어를 중립 N에 놓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버튼을 계속적으로 당겨 주면서 기어를 중립인 N으로 바꿔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차를 멈추기 위해서는 고속주행 중인 차량의 기어를 주차인 P로 바꾸게 된다면 핸들을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곡 중립인 N으로 바꿔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지형지물 사용하기
위의 방법을 모드 진행했음에도 차량이 멈추지 않는다면 주변의 지형지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속도가 더 빨라지기 전에 중앙선 분리대나 가드레일, 보도블록 등에 차량의 옆면을 부딪혀서 속도를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 시동 끄기
모든 방법을 이용해도 차량이 멈추지 않고 주변에 마땅한 지형지물도 없다면 시동을 끄는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시동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연속으로 시동버튼을 누르면 시동을 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동을 끄면 핸들이 잠길 수 있기 때문에 최후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기차의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면 탑승자뿐만 아니라 주위의 사람들 까지도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처 방법을 사전에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차 급발진의 주요 원인과 상황에 따른 대처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2023.09.22 - [분류 전체보기] - 전기차 소모품 교체 주기 및 관리 방법과 주의사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