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시동이 안 걸릴때 정확한 원인과 해결 방법

by 알뜰생활정보 2023. 10. 28.

자동차 시동을 걸려고 하는데 갑자기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운전 경력과 상관없이 대부분 당황스럽고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난감하게 됩니다. 사전에 미리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해당 원인에 대하여 알고 있다면 쉽게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시동이 안 걸릴 때 정확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1. 스마트키 상태 확인

예전의 차량은 시동을 걸기 위해서 운전대 옆의 구멍에 열쇠를 넣고 돌려야 했지만 최근에는 열쇠가 아닌 스마트키가 차량 내에 있다는 것만 인식이 된다면 버튼 하나로 시동을 켤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키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가장 먼저 스마트키가 차량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후에는 스마트키의 잔여 배터리가 충분한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면 됩니다.

2. 차량 배터리 방전 확인

자동차의 시동이 안 걸릴 때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차량의 배터리 방전 문제입니다.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이 된다면 시동이 걸리지 않고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부분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차량의 라이트나 실내 등을 장시간 켜둔다면 배터리가 쉽게 방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주차를 하고 난 후에는 다시 한번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주변의 차량이나 보험회사의 긴급출동서비스를 통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입니다. 배터리의 교체주기는 보통 3년으로 주행거리는 50,000km 정도로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면 시동을 끄지 말고 정비소에 방문하여 배터리 교체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 브레이크 페달 확인

스마트 버튼으로 시동을 걸 때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정상적으로 시동이 켜지게 됩니다. 초보 운전자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다면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현재 본인의 발에 엑셀 브레이크를 닿고 있는 것이 아닌지를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시동 버튼을 10초 이상 길게 눌러주시면 됩니다.

4. 변속기 위치 확인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것과 같이 변속기도 P 위치에 놓여 있어야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리게 됩니다. 만약에 변속기가 R이나 D로 놓여 있다면 당연히 시동은 걸리지 않으며 N으로 놓여 있을 때에는 시동이 걸리기는 하지만 차량이 앞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시동을 걸기 전에는 변속기의 위치가 P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차량 부품 고장 확인

여러 가지 방법을 확인해도 시동이 걸리지 않고 계속 같은 현상이 반복된다면 가까운 정비소에 방문하여 부품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타트 고장, 연료필터 문제, 점화플러그 교체 등의 다양한 문제가 있어도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료필터나 점화플러그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한 교체시기를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의 부품 고장이 아니라면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전에 해결 방법을 숙지하고 계시면 좋습니다. 자동차 시동이 안 걸릴 때 정확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2023.10.21 - [분류 전체보기] - 자동차가 있다면 꼭 알아야 하는 엔진 고장 신호 6가지

2023.10.20 - [분류 전체보기] - 자동차의 안전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타이어 관리 방법 BEST 8

댓글